본문 바로가기
서평 및 책 속의 글

[서평 : 자기성장 : 제로 투 원]어디 한번 월드 클래스의 통찰력 맛좀 볼까?

by Yum맨 2021. 9. 30.
반응형

출판사는 딱히 표지 디자인에 큰 아이디어가 없었나보다.

●작가 소개 : 피터 틸( Thiel Peter) : 미국의 기업인이자 벤처투자자. (속칭 페이팔 마피아의 1인)
손꼽히는 스타트업 성공 사업가이자 벤처캐피탈 투자자이다. 1998년 전자결제시스템 회사 페이팔(PayPal)을 설립해 CEO로서 회사를 이끌었으며, 2002년 페이팔을 상장시켜 빠르고 안전한 온라인 상거래 시대를 열었다. 2004년 그는 첫 외부 투자로서 페이스북에 투자했고 페이스북 이사로 활동했다. 소프트웨어 회사 팰런티어 테크놀로지(Palantir Technologies)를 출범시켰다. 

(출처 : http://www.yes24.com/SearchCorner/Search?author_yn=y&query=&auth_no=160605&domain=all)

피터틸이 만든 기업 : 페이팔과 팔란티어 // 이 외에도 페이스 북 등 유명 기업 여러곳에 초창기 대투자자시다.

●독서 동기 : 유튭에서 소개하는 영상을 보고 흥미가 생겼다. 조금 알아보니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이면 이 책을 꼭 읽는다고도 하여 기대가 되어 구매하게 되었다.

●작가는 말한다. 세상에는 두 가지 진보가 있다고. 하나는 수평적인 것, 다른 하나는 수직적인 진보이다.
-수평적 진보는 이미 있는 1에서 n으로 가지치기하듯 뻗어나가는 것이며 이를 글로벌 화라고 부를 수 있다.
-수직적 진보는 집중적 진보라고도 말할 수 있고 이는 새로운 일을 하는 것이며 아무도 한 적이 없는 0에서 1로 진보하는 것이다.

▶작가는 이 책 통틀어서 [독점]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우리는 보통 독점이라고 하는 것은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우리가 배운 "부정적인 독점"은 변하지 않는 세상에서 일어나는 현상인데, 이때 독점 기업은 수금원 밖에 안된다. 그러나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역동적으로 변하는 세계이기 때문에 늘 새롭고 더 나은 것을 발명하는 것도 가능한 곳이다.

 변하는 세계에서 작가 추구하는 독점은 "창조적 독점기업"이라고 일컫는다.

"창조적 독점 기업"의 특징으로는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서 모든 사람에게 혜택을 주는 동시에 그 제품을 만든 사람은 지속 가능한 이윤을 얻는 것이다.
▷단순히 나머지 사회에도 좋은 기업이 아니라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는 강력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독점 이윤은 인위적으로 물량을 줄였기 때문이 아니라 세상을 훨씬 더 풍요롭게 만든 것에 대한 보상이다. 그리고 오래된 독점 기업들은 혁신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백히 보여준다.

▶작가는 창업에 있어서 "경쟁"은 반드시 피해야 할 것이라고 말한다. 경쟁이란 아무도 이윤을 얻지 못하고 의미 있게 차별화되는 부분도 없이 생존을 위해 싸우는 것이다.

기업은 이윤을 추구하는 곳인데 완전 경쟁에 들어가게 되면 이윤을 추구할 수가 없다고 한다. 작가가 말하는 완전 경쟁은 마치 우리나라에서 예로 들면 치킨집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치킨집 옆에 치킨집이 있고 또 그 옆에 치킨집이 있다. 치킨집이 올바른 선택이 아니라는 것이 아니라, 그들은 그들이 가지는 이윤을 최소화하면서 가격경쟁을 하고 결국 카운터는 가족을 시키며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갈아 넣지만 그래도 이윤이 크지 않아 망하는 곳이 부지기수이다. 치킨집을 예로 들긴 했지만 기업도 마찬가지다. 기업이 매일매일의 치열한 생존 경쟁을 초월할 수 있는 방법은 단 한 가지뿐이다. 바로 [독점]으로 이윤을 얻는 길이다.

▶작가가 말하는 독점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고 한다. 
첫 번째로 정직하지 못한 방법으로 경쟁자를 몰아내는 것
두 번째로 정부로부터 면허를 획득하는 것
세 번째로 혁신을 통해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 것
작가는 물론, 당연히 세 번째의 종류를 말한다.

이 열린 세상에서 혁신을 통해 독점하고 또 독점하는 것


●미래에 대해 생각할 때 보통 사람들은 두 가지의 사고를 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미래를 명확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미래를 명확한 것으로 생각하면 그 사람에게는 흔들림 없는 확신일 있을 것이다. 확신이 있는 사람은 평범한 것들을 이것저것 쫓으면서 다방면에 소질 있다 말하지 않고 가장 하고 싶은 것 하나를 정해서 그 일을 한다. 즉 한 가지를 독점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두 번째는 미래가 불명확하다고 보는 것이다.
미래가 불명확하다고 여기는 태도는 으레 자기가 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묶어 포트폴리오를 만든다. 즉 뭐든 잘하려고 한다.

사실 이 불명확한 사고의 전형은 금융 쪽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어떻게 해야 부를 창출할 수 있을지 전혀 모를 때 유일하게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 바로 금융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융은 다각화해서 안전투자를 하는 게 맞을진 몰라도 우리의 인생은 포트폴리오가 아니다. 사람이 스스로 다각화할 방법은 없고, 우리는 오로지 우리가 잘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다만 그전에 반드시 그 일을 하기에 앞서 미래에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인지를 먼저 치열하게 고민해봐야 한다 → 인생에 있어서도 "독점"이 가능할 것 같은 분야가 있으면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정으로 남들과 다른 사람은 다수에게 반대하는 사람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는 사람이다

●욤맨의 별점 : ★★★★ : 별 4개! : 단순한 자기 계발 도서가 아니라, 내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하는 책.

이 사람은 타이탄의 도구들에서도 어록이 있다 : "10년 걸려서 이룰 일을 왜 6개월 만에 못하는가?"일단 이 분의 생각 자체는 일반인과 좀 많이 다르다. 마치 미친 사람처럼 보이게 하는 말을 하는 사람이지만, 이 책을 읽다 보면 이해가 간다. 그의 통찰은 성장을 원하고 특히 사업을 하고 싶은 사람에게 큰 깨달음을 줄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사업에 관심이 없는 사람은 이 책이 쓸모가 없느냐 하면 그런 것도 아니다. 독점의 개념 및 유통의 중요성 등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가 달라질 수 있는 통찰을 배우는 것은 그것만으로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이 든다. 많은 자기 성장에 대한 책들이 많지만 이렇게 까지 적나라하고 직관적으로 설명하는 책은 못 봤던 것 같다. 그래서 이 책이 나온 지 꽤 되었음에도 베스트셀러를 넘어 스테디셀러로 까지 등극한 이유가 아닐까 생각이 든다.

진정으로 남들과 다른 사람은 다수에게 반대하는 사람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는 사람이다

월드클래스의 시선을 이렇게나마 볼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한다

초반 부분은 작가의 독점에 대한 생각 그리고 창업하는 사람들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등등에 대해 잘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러나 뒷부분으로 갈수록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항목들이 나오기 때문에 만약 사업에 관심이 없다고 하면 뒷부분으로 갈수록 조금 지루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책 자체는 300p가 안 되는 적당하다고 느꼈고 구성 또한 간결하기 때문에 읽기에 그렇게 부담스러운 편은 아니었다.

●어록:
 비즈니스 세계에서 모든 순간은 단 한 번밖에 일어나지 않는다. 앞으로 그 누구도 컴퓨터 OS를 만들어서 제2의 빌 게이츠가 될 수는 없다. 검색 엔진을 만들어서 제2의 래리 페이지나 세르게이 브린이 될 수도 없으며, 소셜 네트워크를 만들어 제2의 마크 저커버그가 될 수도 없다.  기존의 모형을 모방하는 것은 쉽지만 그래 봐야 세상은 1에서 n이 될 뿐이다. 그러나 뭔가 새로운 것을 창조하면 세상은 0에서 1이 된다.  (Zero to one)

핵심은 세상에서 단 하나의 특별함이 되는 것

●짤막 상식 : 페이팔 마피아란?

 [페이팔 마피아]는 2000년대 초반 페이팔 출신 220명을 이르는 말이다. 페이팔 창업에 함께했던 초창기 팀원들은 회사 인수 이후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었으며 현재까지 연쇄 창업가의 길을 걷고 있다. [구글, 스페이스 X, 테슬라 링크드 인 등등] 그 기업들 대부분은 들어보면 다 알만한 곳이다. 이들이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생태계에 미친 영향이 지대하여 창업 업계에서는 이들을 가리켜 [페이팔 마피아]라고 부르고 있다.

찾다가 보니 한국에서도 비슷하게 [네이버 마피아(네피아), 카카오 마피아 (카피아)]가 있다고 한다. [XXX 마피아]라는 용어는 더러 IT 스타트업에서 종종 쓰이는 용어인 듯하다.

출처 :https://sellingbliss.blogspot.com/2014/09/the-paypal-mafia.html?m=1

 

출처 : 나무위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