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어느날 문득 - 국제&사회&정치&경제59

[<공사 & 공단 &공기업의 차이 >조사편]헷갈리는 개념들 다 잡아 드립니다! ●어느 날 문득 아는 형님이랑 잡담 중, 형님네 회사의 경영진이 어디선가 발령이 되어 왔다느니에 대한 이야기가 우연히 나왔다. 무슨 회사 경영진이 어디선가 발령이 나는 것인가 했더니 그 아는 형님은 공공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었고 들어 보니 경영인도 어디서 결정되면 발령이 되는 식이었다. 여기서 나는 공공기관의 경영진은 어떻게 채택이 되는지, 공사/ 공단 / 공기업 등 다 이 붙어서 공공기관인 거 같긴 한데 정체가 무엇이고 어떻게 분류가 되는지를 간단하게 조사해 보았다. 하지만 먼저 공사/ 공단/ 공기업의 의미를 알기 전에 이라는 최상위 개념부터 알고 가야 한다. ●공공 기관이란 뭘까? 공공기관은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공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정부 관련 단체 또는 기관으로 정부의 출연·출자 또는 정부의.. 2022. 3. 15.
[어느날 문득 <AI, 로봇 그리고 인간 >]난 뭐하고 살아야 하나? ●나는 여가시간을 보낼 때 유튭 보는 것을 즐겨한다. 여느 때와 같이 평범한 하루를 보내던 어느 날 생각해보니 구글은 내가 검색해서 봤던 것을 가지고 내가 자주 보고 관심 있어하는 영상들을 기준으로 나에게 영상들을 추천한다. 대게 구글이 추천해주는 영상들은 내 마음에 쏙 들기 마련이었고 내가 자주 보게 되는 영상들은 구글의 추천 영상이었다. 그렇게 되면 나는 새로운 키워드를 검색하지 않는 이상 구글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비슷한 카테고리의 영상만 쭉 보게 되는 것이다. 편안하기는 하지만 다른 분야에 대한 다양성을 가지지 못하게 되고 알고리즘이라는 느슨한 경계를 가진 영역 안에만 머무는 느낌이 든다. 이런 알고리즘도 결국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다가 문득 오늘날의 AI와 로봇에 대해서 생각.. 2022. 3. 11.
[어느날 문득 <20대 대통령 선거 결과>후기 편]끝까지 마음 놓으면 안되는 선거! ●22년 3월 9일 20대 대통령 선거가 끝이 났다. 참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선거긴 했지만 드디어 끝났고 선거 후 개표하는 과정과 그 결과에 대한 간단한 포스팅을 해볼까 한다. ●대선의 결과는? : 일단 결과부터 말하자면 기호 2번 가 당선되었다. ●본 투표날, 투표시간이 끝나고 저녁 즈음부터 개표 방송을 시청하였는데 출구조사부터 이 둘의 결과는 그 누구도 알 수 없고 이건 끝까지 가 봐야 알 수 있음을 직감할 수 있었다. 개표가 시작되면서 지루해질 틈 없이 화려한 영상들이 나오는 선거 방송을 보는 동시에 내 할 일을 하면서 지켜보았다. 보통 지금까지의 투표는 새벽 2시가 안 되었을 무렵 개표율 7~80%즘 되면 득표수에 차이가 벌어져서 더 이상 보지 않아도 결과가 나왔었는데 이번에는 엎치락뒤치락하면서.. 2022. 3. 10.
[어느날 문득 <20대 대통령 공약>조사 편]말 많고 탈 많은 차악 선거! 도대체 누굴 뽑아야하나?? ●곧 대한민국의 20대 대통령 선거가 있다. 그간 후보들의 토론도 보아 오고 선거 전 스스로 공부할 겸 공약에 대해 포스팅을 간단히 해 보려고 한다. ●본디 이번 포스팅은 이재명/윤석열/안철수 3자 대결로 보고 3명의 공약을 준비하려고 했다. 그러나 22년 3월 3일 목요일 오전, 단일화는 결코 없을 거란 안철수의 말이 뒤집어지며 과 후보의 단일화 선언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번 20대 대통령 선거는 이재명과 윤석열 두 거대 양당의 대결로 좁혀졌다고 생각하기에, 이번에는 이 두 후보의 공약을 조사해 보려고 한다. ▶일단 중앙 선거 관리 위원회에 제출된 [10대] 공약집을 보자. (https://policy.nec.go.kr/) ●공약들을 보면서 느끼는 것은 뭔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그렇기.. 2022. 3. 5.
반응형